내시경


첼로병원

내시경


  • 재활입원 중 병원내에서 내시경 검사와 치료가 가능한 접근성과 편리성
  • 소화기 내시경 세부 전문의 상주
  •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원스톱 의료 서비스 제공
  • 감염 예방과 안전을 위한 철저한 내시경 소독 시행
  • 정밀 진단을 통한 맞춤형 전문의 상담
  • 조직검사 및 용종 절제 시 일회용품 사용
  • 복용이 쉽고 편리한 하제 사용

위내시경 검사


위내시경 검사는 입안에 내시경을 넣어 식도, 위, 십이지장을 검사하여 아주 작은 초기병변까지 찾아낼 수 있는 가장 정확하고 효과적인 검사 방법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암 발생률 1위인 위암을 조기에 발견하는 가장 정확한 검사방법입니다.

대장내시경 검사


대장내시경 검사는 항문을 통해 삽입하여 항문에서부터 대장의 전체를 관찰하는 검사로 대장질환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 할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이상 병변이 있을 때 조직검사가 가능하고 대장 용종을 발견할 시 내시경적 용종절제술로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에 대한 질문 답변


내시경은 무엇보다 잘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첼로병원은 환자분들이 청결하고 질 높은 내시경 검사를 받으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합니다.

대장내시경 검사 시,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고, 내시경이 움직이면서 대장 내부가 자극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이상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과식하시면 안되고 맵고 짜고 뜨겁고 탄산음료같이 자극적인 음식은 자제 하셔야 합니다.

약을 계속 먹고 화장실에 가다 보면 변이 더 이상 안 나오고, 맑은 액만 나오는 시점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상황이 되면 어느정도는 장이 깨끗해진 것이지 혹시 조금이라도 남아있는 경우에는 정확한 대장내시경 검사에 방해가 될 수 있으니 가능하면 약은 다 드실 것을 추천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전날에는 맑은 음료는 드셔도 되며, 검사 전 금식 시간 전까지 우유, 커피는 드실 수 있습니다.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에서 권고하는 '내시경 세척 및 소독 지침'에 따라 내시경 기구를 매회 하나씩 세척하고 화학적 방법을 통해 철저히 소독하고 있습니다. 내시경에 필요한 조직검사 장비 및 부속 기구는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첼로병원 내 감염관리실에서 정기적으로 내시경 검사 기구 및 소독 과정을 철저하게 점검하고 있습니다.

비수면 위내시경의 경우는 국소마취를 하므로 목의 마취가 풀릴 때까지 최소 1시간의 금식이 필요합니다. 조직검사를 한 경우는 물은 1시간 후, 식사는 2시간 후 시작합니다. 음주,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셔야 합니다. 또한 용종절제술을 시행하신 경우 때에 따라 금식을 하는 경우도 있으니 의사의 처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의사선생님의 판단 하에 처방이 필요한 경우 또는 진단은 경미하나 고객이 증상이 있어 처방을 원하시는 경우 처방전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물을 마시게 되면 음식과 마찬가지로 위액이 나오고 침이 많이 고이게 되며, 위에 거품처럼 달라붙어 시야가 방해가 됩니다. 너무 목이 마른 경우 반컵 정도는 괜찮지만 검사 1~2시간 전에는 소량의 물도 마시지 않는게 좋습니다. 아침에 혈압약을 드시는 분들은 아침에 일어나셔서 최소량의 물과 같이 드셔야 합니다.

비수면 내시경은 힘들긴 하지만 약물 주입이 없어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수면내시경은 편안하게 진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개인별 또는 검사 당일 고객님의 건강상태에 따라 진정제 사용 용량이 달라지며, 진정제의 부작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용을 제한합니다. 검사 후 당일 운전이나 기계 조작은 삼가 하셔야 합니다.

순간적으로 잠을 유도하여 일시적 기억 상실이 있을 수 있으나 체내에서 수분이면 약 효과가 없어지기 때문에 인체 내에는 전혀 후유증이나 다른 유해 작용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수면내시경 검사는 마취제가 아닌 수면 유도제로 진정상태에서 하는 검사이며, 이런 과정에서 잠을 자기도 하므로 편의상 수면 내시경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몽롱한 상태이긴 하나 의사의 말이나 가벼운 자극에 반응 할 수 있으며, 검사 도중에 자극에 의해서 깨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검사 도중의 불편감을 잘 느끼지 못하며 검사 후에는 검사에 대해 잘 기억하지 못합니다.